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STClient
- 영속성
- redis
- 백엔드
- GitHub Actions
- K3S
- Domain Driven Design
- 쿠버네티스
- 큐시즘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중간 장소 추천
- 모임 장소 추천
- java
- JPA
- 한국대학생it경영학회
- 약속 장소 추천
- cicd
- kusitms
- JPQL
- 30기
- springboot
- Spring
- 중간 지점 추천
- Spring Batch
- ddd
- 이펙티브자바
- Container Registry
- 객체지향 쿼리 언어
- 최범균
- Today
- Total
목록2025/07 (3)
코딩은 마라톤

중간 지점 추천 서비스인 SPOT(스팟)은 에러 발생 시, 팀에서 어떤 에러인지 문의가 들어오고 이때 터미널에 들어가 로그를 확인했다.다만, 아직 미흡한 로깅 처리와 에러 추적에 대한 시스템을 마련해두지 않아서 매번 예외 로그만 확인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다. 팀 SPOT은 디스코드를 협업 툴로 사용하고 있고, 디스코드 웹훅을 이용해 에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스팟-에러 알림 채널을 만들었다. 웹훅을 어떻게 연동하고 처리하는지 알아보자! 1. 디스코드 웹훅 생성하기 디스코드 알림 채널을 만들고, 서버 설정 -> 연동을 통해 웹훅을 만들 수 있다.웹훅을 만들고 연결할 알림 채널과 이름을 설정하고 웹후크 URL을 복사한다. 웹훅 URL에 요청을 보내 디스코드에 알림을 보내는 방식..

https://developer-anxi.tistory.com/79 [Kubernetes] K3s로 운영·스테이징 환경을 단일 서버에서 분리하기 (1)나는 현재 중간 지점 추천 서비스인 "스팟(SPOT)"을 디벨롭하고 있으며 8월 중에 릴리즈 예정이다.지금은 UI 개선과 API 로직 개선 등 다방면에서 개선하고 있다. SPOT은 릴리즈 전인 지금도 사용할developer-anxi.tistory.com 1부에서는 K3s로 단일서버에서 운영·스테이징 환경으로 분리한 이유를 적어보았다.이번에는 단일서버에서 분리한 방식을 적어보려 한다. 쿠버네티스를 적용한 아키텍처 기존 아키텍처와 바뀐 부분은 쿠버네티스를 적용해서 Ingress 및 운영, 스테이징 네임서버 분리 그리고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파드와 레디스 파드를 ..

나는 현재 중간 지점 추천 서비스인 "스팟(SPOT)"을 디벨롭하고 있으며 8월 중에 릴리즈 예정이다.지금은 UI 개선과 API 로직 개선 등 다방면에서 개선하고 있다. SPOT은 릴리즈 전인 지금도 사용할 수 있고, 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 친구들과 어디서 만날지 확인할 수 있다.https://www.pickspot.co.kr/ SPOT최적의 중간장소 찾기, 약속장소 추천www.pickspot.co.kr 운영 서버 단일 구성의 한계: API와 UI 불일치로 인한 리스크 존재출시 전인 지금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기능 개발/수정 후 배포된다면 운영 서버에 바로 적용되어 프론트에서 사용하는 값과 백에서 제공하는 값이 틀어질 수 있다. 즉, 기존의 SPOT은 운영 서버 하나로만 관리되어 백엔드에서 배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