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자동처리
- springboot
- ddd
- JPA
- 30기
- Domain Driven Design
- Spring Batch
- 객체지향 쿼리 언어
- GitHub Actions
- 영속성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Spring
- 큐시즘
- kusitms
- scheduling messages with rabbitmq
- JPQL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한국대학생it경영학회
- delayed message plugin
- 교육기획팀원
- 교육기획팀
- 밋업프로젝트
- 최범균
- rabbitmq-delayed-message-exchange
- 이펙티브자바
- cicd
- java
- reactive operaton
- jdbc
- RESTClien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reactive operaton (1)
코딩은 마라톤
[Reactive Spring] 리액티브 프로그래밍과 오퍼레이션 (Flux, Mono)
시작에 앞서,애플리케이션 코드를 개발할 때는 명령형(imperative)과 리액티브(reactive, 반응형)의 두 가지 형태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명령형 코드순차적으로 연속되는 작업, 각 작업은 한 번에 하나씩 그리고 이전 작업 다음에 실행된다.데이터는 모아서 처리되고 이전 작업이 데이터 처리를 끝낸 후에 다음 작업으로 넘어간다.리액티브 코드데이터 처리를 위해 일련의 작업들이 정의되지만, 이 작업들은 병렬로 실행될 수 있다.각 작업은 부분 집합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다음 작업에 넘겨주고 다른 부분 집합의 데이터로 계속 작업할 수 있다.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이해하기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대안이 되는 패러다임이다.명령형 프로그래밍의 문제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Backend/Spring Boot
2025. 3. 24. 18:31